- 오늘 배운것
논리 연산의 종류
| AND | 그리고 |
| OR | 또는 |
| NOT | ~이 아닌 |
| SUM | 합계 |
| AVG | 평균 |
| COUNT | 컬럼의 데이터 갯수 |
| DISTINCT | 몇개의 값을 가지고 있는지 구할 때 |
GROUP BY : 여러번의 QUERY 없이,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수식함수로 연산할 수 있다.
기본 구조
Select 카테고리 컬럼(원하는 컬럼)
sum(계산컬럼)
from
group by 카테고리 컬럼(원하는 컬럼)
예시) 각국의 주문가격 합계 구하기
select cuisine_type
sum(price) sum_of_price
from food_orders
group by cuisine_type
음식점별 주문금액 최댓값 조회
Select restaurant_name
max(price)"최대 주문 금액"
from food_orders
group_by restaurant_name
Order by : 정렬 기준 컬럼 지정
기본 구조
SELECT column1, column2, ...
FROM table_name
ORDER BY column_name [ASC | DESC];
(ASC : 오름차순(생략가능)/DESC : 내림차순)
예시)
음식 종류별 주문 합계를 '주문 금액 합계'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
select cuisine_type
sum(price) sum_of_price
from food_orders
group by cuisine_type
order by sum(price)
음식점별 주문금액 최댓값 조회하기-최댓값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
select restaurant_name,max(price)"최대주문"
from food_orders
group by restaurant_name
order by max(price) desc
- 느낀 점
익숙해진다고 느끼면 바로 구문(명령문)이 길어지니 이해하는데 이전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던 것 같다. 짧을 때는 아, 이거지 였다면
길어지니까. 그 텀이 길어진 것을 체감한다.